
불필요한 사족 달지 않겠습니다. 세계 톱 저널 SCIENCE는 2021년 세계 최고의 성과 중 하나로 이 사진을 표지로 걸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성과 중 하나로 2021년 모든 연구 성과 중에서 가자 우수한 연구 성과로 인공지능이 단백질의 구조 해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버린 연구를 꼽은 겁니다. 지금 보이는 이미지에서 지폐 같은 것들 하나하나가 단백질의 구조라고 합니다. 올해 1월 서울대 윤태영 교수님을 만나 뵀는데 그때 윤태영 교수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더 터질 것 같습니다. 그게 뭐냐면 2010년을 기점으로 전자현미경 기술이 갑자기 급속도로 발전해서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막 단백질 구조가 속속들이 밝혀지기 시작했는데 재작년인가요? 노벨화학상이 전자현미경으로 나왔습니다. 전자현미경 방법이 한 201..
인간계 대표 이세돌 9단은 승리를 확신했습니다. 하지만 이세돌 9단은 예상을 깨고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에 졌습니다.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가 인간 최고수인 이세돌 9단을 또 이겼습니다. 알파고도 약점은 있었습니다. 완벽해 보였던 알파고에도 약점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고 인간이 이겼습니다. 세기의 대결을 1승 4패로 마감했습니다. 예전에 정말 전 세계가 이 경기를 집중했었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였고 그때 주식시장까지도 연관이 될 정도였습니다. 구글 관련 주식이 많이 폭등했었죠. 이세돌이 1승을 거두었을 때 ai가 한 말이 잊히지 않습니다. "새로운 정보를 찾았습니다. 업그레이드하겠습니다." 1997년 천체물리학자 Piet Hut은 뉴욕타임스에서 말했습니다. "바둑에서 컴퓨터가 인간을 이기려면 100년쯤..
- Total
- Today
- Yesterday
- 우주
- 2021년 SCIENCE 저널표지
- MIT
- 아인슈타인
- 백민경박사
- 인공지능
- 모세관현상
- 현대과학
- nature
- 탈모
- 양자역학
- 백민경
- 불로불사
- UFO
- 태양의 대기
- 비판적 과정
- 양자컴퓨터
- 외계인
- 인터스텔라
- 로제타 폴드
- 브라이언 그린
- 알파고
- 줄기세포
- 리처드파인먼
- 스티븐호킹
- 외계 비행체
- 구글
- 환경오염
- 로제타폴드
- 외게비행물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